한국, 디지털 자산법 검토

6월 10일, 한국 더불어민주당은 암호화폐, 스테이블 코인,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통합된 규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포괄적인 입법안인 디지털 자산 기본법을 공식적으로 발의했습니다.
민병덕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법안 제출을 발표하며 투명성, 투자자 보호,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한국의 리더십을 확립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말했다고 크립토뉴스가 보도했습니다.
이 법안은 2024년 7월부터 시행된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법을 기반으로 투자자 보호 수준을 넘어 라이선스 제도, 정부 감독, 시장 행위 집행까지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새로운 프레임워크의 핵심인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싱
법안의 주요 내용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라이선스 제도 도입입니다. 이러한 발행자는 최소 5억 원(약 367,890달러)의 자본금을 유지해야 하며 금융위원회(FSC)의 규제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파산 원격 조항과 파산 시 사용자 상환을 보장하기 위한 예비 자산 요건 등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제도는 최종 사용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한국의 진화하는 암호화폐 결제 인프라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스테이블코인 상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감독 및 업계 거버넌스 기구 확대
이 법안은 또한 국가 암호화폐 정책을 조율하기 위해 대통령실 산하에 디지털 자산 위원회를 구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독립적인 소위원회를 통해 토큰 심사 및 거래소 상장을 포함한 시장 관행을 모니터링하는 민간-공공 기관인 디지털 자산 산업 협회가 이를 보완할 것입니다.
시장 위법 행위를 조사하고 불공정 거래에 대한 벌금을 부과할 권한이 있는 금융감독원의 권한이 확대되어 규제가 강화될 것입니다. 해당 부문의 기업들은 등록, 승인, 공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디지털 자산이 한국의 공식적인 금융 감독 시스템에 통합될 것입니다. 이 법의 시행 시기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6월 4일 취임하면서 현물 암호화폐 ETF 합법화, 기관 암호화폐 투자 활성화, 연기금의 디지털 시장 참여 모색 등 선거 공약을 강화한 시기와 맞물려 있습니다.
최근 저희는 한국이 오랜 기간 금지되었던 암호화폐 거래를 완화한 이후 첫 기관 암호화폐 거래를 기록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